• 로그인
  • 회원가입
  • 현재접속자 2

일본의 잔재

얼마 전 인기리에 끝난 드라마 도깨비.

탄탄한 스토리와 개성있는 주인공 구성으로 한동안 시청자들을 공유앓이 하도록 만들었죠.
그렇다면, 여러분들은 공유 말고 '도깨비하면 생각나는 모습이 무엇입니까? 
일단 뿔이 있고, 방망이를 들고 다니며, 이빨이 뾰족한 모습이 생각나지 않으신가요? 


이런 모습의 도깨비는 일본의 도깨비로 실제 한국의 도깨비와는 많이 다릅니다.
도깨비라고 하면 얼굴과 몸이 빨갛고, 뾰족한게 콕콕 박혀있는 방망이를 들고다니며 원시인같은 옷을 입은 모습을 떠올리는데요.

한국의 도깨비는 술을 좋아하고, 사람들과 어울려 노는 것을 좋아했는데, 특히 힘이 세서 씨름하는 것을 좋아했다고 합니다. 

또한 메밀묵과 시루떡을 좋아한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그렇다면 우리는 왜 친근한 모습의 도깨비를 무서운 괴물이라고 생각했을까요?


바로 일본의 잔재로 남아있는 것을 그대로 배웠기 때문입니다.

한국이 광복한지 올해 71년이 되었습니다.


아직도 한국은 일본의 그늘 아래에 못 벗어난 부분이 존재합니다. 
그걸 일제의 잔재 라고 부르는데요.
그 중의 하나로 액자 속에 있는 태극기입니다. 


본 사진은 예시를 위해 올린 것일뿐 게시물과는 관계가 없습니다
학교에서 자연스럽게 걸려있던 태극기가 일본의 잔재라니... 
정부에서는 깃발 등으로 바꾸려하지만 아직도 액자에 걸려있는 태극기가 많이 있죠.

또한 우리가 흔히들 “감사합니다”라고 하는 이 말도 일본의 잔재라고해요. 


여기서 “고맙습니다” 의 어원은 ‘고마’로 신,존경이라는 뜻입니다. 
그래서 ‘고맙다’는 ‘존경하다’, ‘존귀하다’라는 뜻으로, ‘신과 같이 거룩하고 존귀하다, 신을 대하듯 존경하다’ 라는 뜻이라고 합니다.
이제부터는 “감사합니다” 대신 “고맙습니다” 라고 말하는 습관을 가져야겠습니다.
또한 마트에 가면 흔히 볼 수 있는 ‘크라운 산도’

여기서 ‘산도’는 샌드위치의 일본발음으로 이런 언어적 잔재는 우리의 일상생활에 너무 많이 녹아있습니다. 
이 밖에도 ‘닭도리탕’은 ‘닭볶음탕’으로, ‘요지’는 ‘이쑤시개’로, ‘어린아이가 뗑깡을 부린다’의 이 ‘뗑깡’도 우리말로 고치면 ‘생떼’라고 해야 맞는 표현입니다.

일제강점기는 고작 30여년밖에 되지 않았는데 광복71년인 지금도 우리는 일본의 잔재들을 아무렇지 않게 사용하고 있습니다. 
이제부터라도 바른 언어 사용으로 일제의 그늘을 벗어나야 하지 않을까요?


출처-네이버 이미지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입력

대한사랑 청소년홍보기자단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입단 신청 링크!! 샤인shine 11-03 2,850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SNS 드루와 드루와! 동이 09-14 2,686
공지 청소년을 위한 빛나는 역사 특강 7class 전체 영상 동이 02-23 3,971
공지 2021년 (사)대한사랑 청소년 환단고기 독후감 대회 (1/1~2/28) 동이 01-06 3,887
공지 대한사랑 역사 특강 [인터넷 강의] +1 샤인shine 09-06 7,683
235 구천년 역사의 연결고리, 북부여 안채현 01-29 1,148
234 이제는 헷갈리면 안되는 역사Fact 1. 신간회와 신민회 할일없는고삼 01-22 734
233 우리가 친숙하게 다가가야 할 독립운동가 신채호 김민정 01-22 811
232 우리가 몰랐던 전통활에 대해 알아보자! 빙과 01-17 610
231 전명운 그는 누구인가 수강이 01-16 787
230 역사의 사건 3·1운동에 대하여 이다빈 01-14 688
229 지금까지 우리 역사와 앞으로 가지고 갈 흐름 조예린 01-13 747
228 반환되지 않은 우리 문화재 최희선 01-13 861
227 세계 최초, 우리나라의 금속 활자로 만들어진 ‘직지심체요절’ 신나라 01-13 2,114
226 외국인에게 소개하고 싶은 문화 BEST 4 강지우 01-12 1,410
225 대한사랑 [청소년블로그기자단] 발대식 후기 강지우 01-12 689
224 중국이 탐낸 한글! 한글공정을 아시나요? 김희주 01-12 948
223 독립운동가 '전명운' 박규리 01-12 774
222 독립운동가-유관순 정혜진 01-11 624
221 일본의 역사왜곡-왜곡된 역사를 바로잡을 수 있을까 안채현 01-08 745
220 대한사랑 [청소년블로그기자단] 발대식 후기 조예린 12-25 686
219 [대한사랑 청소년 블로그 기자단] 발대식 후기 박규리 12-25 626
218 대한사랑 청소년 블로그기자단 발대식후기 김희주 12-25 668
217 대한사랑 청소년블로그 기자단 1기 "후기" 할일없는고삼 12-24 659
216 대한사랑 블로그기자단 OT와 발단식 용가 12-24 63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