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현재접속자 3

[용재총화] 충선왕과 북경 연녀 이야기 : 충선왕과 이제현

 [용재총화] 충선왕과 북경 연녀 이야기 : 충선왕과 이제현


고려 충선왕(忠宣王)은 왕이 되기전 오랫동안 원 나라에 머물고 있어서 정든 사람이 있었더니, 귀국하게 되자 정인(情人)이 쫓아오므로 임금이 연꽃 한 송이를 꺾어주고 이별의 정표로 하였다. 밤낮으로 임금이 그리움을 견디지 못하여 익재(益齋 이제현(李齊賢)의 호)를 시켜 다시 가서 보게 하였다. 이익재가 가보니 여자는 다락 속에 있었는데, 며칠 동안 먹지를 않아 말도 잘 하지 못하였으나 억지로 붓을 들어 절구 한 수를 쓰는데, 


보내주신 연꽃 한 송이 / 贈送蓮花片

처음엔 분명하게도 붉더니 / 初來的的紅

가지 떠난 지 이제 며칠 / 辭枝今幾日

사람과 함께 시들었네 / 憔悴與人同 하였다.


익재가 돌아와서, “여자는 술집으로 들어가 젊은 사람들과 술을 마신다는데 찾아도 없습니다.”고 아뢰니, 임금이 크게 뉘우치며 땅에 침을 뱉었다. 다음해의 경수절(慶壽節 왕의 생일)에 이익재가 술잔을 올리고는 뜰아래로 물러나와 엎드리며, “죽을 죄를 지었습니다.” 하니, 임금이 그 연유를 물으므로 이익재는 그 시를 올리고 그때 일을 말했다. 임금은 눈물을 흘리며, “만약 그 날 이 시를 보았더라면 죽을힘을 다해서라도 돌아갔을 것인데, 경이 나를 사랑하여 일부러 다른 말을 하였으니, 참으로 충성스러운 일이다.” 하였다.



[태백일사 고려국본기] <충렬왕과 북경 연녀이야기>


임금께서 연경(지금의 북경)에 있을 때 연녀에게 매혹당하셨다.이별할 때 연녀가 손수 연꽂 한송이를 바치며 이렇게 말했다


“ 임금께서 돌아가시는 길에 만약 이꽃이 시든 것을 보시면 이 목숨이 장차 다할 것이옵니다”


며칠 뒤에 꽃을 보니 초췌해지고 있었다. 임금은 연녀가 죽을까 두려워 다시 연경으로 돌아가려 하셨다. 존비가 가서 살펴보고 오겠다고 자청하여 연녀를 찾아갔다. 연녀가 울며 시를 바치니 이러하였다.


" 연꽃 향기를 서로 주고 받으니 처음에는 붉은 빛 아리따웠네 꽃을 드린 지 며칠 지나니 시든 모습 님과 같사옵니다."


 존비는 임금이 시

1455345469827.jpeg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입력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입단 신청 링크!! 샤인shine 11-03 2,844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SNS 드루와 드루와! 동이 09-14 2,682
공지 청소년을 위한 빛나는 역사 특강 7class 전체 영상 동이 02-23 3,965
공지 2021년 (사)대한사랑 청소년 환단고기 독후감 대회 (1/1~2/28) 동이 01-06 3,882
공지 대한사랑 역사 특강 [인터넷 강의] +1 샤인shine 09-06 7,675
공지 KBS 역사스페셜 - 조선사편수회를 조직하라 ○□△천지인歷史 10-17 4,517
공지 홍산문명 관련 다큐 모음 영상 ^0^ 歷史바래♡ 10-16 4,513
공지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닌 이유(네이버 지식인) 歷史바래♡ 10-02 4,912
공지 ☆식민사학 비판 필독서(150915火 현재15권)☆ 歷史바래♡ 09-15 4,285
공지 ☆국립 박물관 LIST☆ 뿌리역사♬ 08-16 4,284
321 "그 사람은 이미 용서를 받았대요. 그런데, 내가 어떻게 다시 그 사람을 용서하냐고요."(일본군 위안부)) 대한歷史 01-06 683
320 한자의 주인은 과연 누구인가? (김진명) 대한歷史 12-29 705
319 韓·日 외교당국이 펼친 인터넷 독도 동영상 홍보전에서 우리 측이 일본을 완승! 대한歷史 12-21 770
318 고종황제 즉위 장소 '환구단' 일대 보호구역으로 지정 대한歷史 12-18 797
317 ☆ 소도(성역)☆ 대한歷史 12-09 748
316 '돌' '아씨' 등 우리말 쓰는 시베리아 다이아몬드 광산의 원주민, 과연 누구. 대한歷史 12-04 747
315 ◈첨성대에서 보는 별자리와 경주 고분 및 유적들 대한歷史 12-02 1,121
314 위성에서 본 국내성 - 그곳에 고구려가 있다. 대한歷史 12-02 746
313 KBS 역사스페셜 제41회[우리나라 최초의 국가는 금지곡 대한歷史 12-01 930
312 역사 전공도 아닌데 왜 역사를 공부하느냐? 대한歷史 12-01 723
311 '일본과 친일파들이 숨기고 있는 대한제국의 진실' 대한歷史 11-30 700
310 누가 이 딴 책 보랬어? 정신 나간 것들... 대한歷史 11-29 731
309 웹툰으로 보는 사회속에 뿌리내린 단군신화 대한歷史 11-24 1,112
308 천부경찬(홍범도, 오동진 장군) 대한歷史 11-24 856
307 [인문학강의] 서양 국제법으로 본 독도, 다케시마 아니다 대한歷史 11-24 761
306 도올 김용옥 '도올의 중국일기' 출간 인터뷰 (20151116 한국일보) 太一歷史 11-17 750
305 ◈오늘은 순국선열의 날입니다. 太一歷史 11-17 3,408
304 약산 김원봉과 12명의 동지들 太一歷史 11-16 830
303 140816] 역사저널 그날 39회 - 홍범도 장군 太一歷史 11-16 868
302 안중근 의사 동상 제막식 - 순국 105년 추도 - (국회 헌정기념관) 太一歷史 11-11 76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