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현재접속자 1

자유시 참변을 아십니까? 조형곤 역사정립연구소 소장 2016.07.29

 자유시 참변을 아십니까? 조형곤 역사정립연구소 소장 2016.07.29 http://www.future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1987


자유시 참변을 겪고 임시정부는 모두 반공(反共)으로 돌아섰으며, 이때부터 독립투사들은 국제정세에 눈뜨면서 글로벌 독립전쟁 펼쳐. 그 주인공이 이승만


조형곤 역사정립연구소장은 자유시 참변 95돌을 맞아 지난 6월 24일에서 7월 2일까지 이상면 전 서울대 법대 교수, 김규민 영화감독, 조성희 전북학부모연합 대표 등과 함께 역사의 현장을 탐방하고 귀국했다. 일행은 대한독립군단이 95년 전 걸었던 그 길을 따라 걸으며 대한독립군단의 투쟁사와 자유시 참변의 현장을 답사했다. 조형곤 소장의 기행문을 두 차례에 걸쳐 게재한다.


1921년 6월 28일 러시아 스보보드니(자유시)에서 일어난, 대한민국 독립전쟁사에서 가장 큰 참극이 자유시 참변입니다. 자유시 참변을 이해하려면 먼저 그 무렵의 국제정세를 살펴봐야 합니다.


피로 물든 1차 세계대전이 끝난 뒤 나온 윌슨의 민족자결주의에 식민지 조선 사람들은 크게 기뻐했습니다. 지구마을을 놀라게 한 3·1 만세는 곧 그 환영사에 다름 아니었습니다(수유리 봉황각에 가보셨습니까. 조선의 지도자들은 이미 1912년부터 7년 동안 3·1 만세를 준비해왔습니다. 아직 가보지 못한 분들은 꼭 가셔서 삼가 옷깃을 여미시기 바랍니다).


그러나 우리 지도자들은 곧 크게 실망합니다. 그 민족자결주의는 1차 대전의 승전국인 일본의 식민지 조선과는 아무 상관이 없었습니다. 패전국인 독일과 오스트리아-헝가리 제국과 오스만 투르크 등이 가졌던 식민지를 영국과 프랑스 같은 다른 열강들이 차지하게 못하도록 하려는 움직임이었을 따름입니다.


오히려 1차 대전 끄트머리에 터져 나온 볼셰비키 쿠데타(러시아 혁명이라는 운동권 용어를 이제 그만 썼으면 합니다)를 핑계로 연해주를 넘어 시베리아까지 파고든 일본군들 탓에 독립전쟁의 상황은 더욱 어려워져 갔습니다.


그런 관점에서 본다면 봉오동-청산리 대첩은 말 그대로 기적이었습니다. 동아시아의 지도를 바꾼 1894년 갑오전쟁부터 자그만치 사반세기를 승전보를 울리며 군사대국이 된 일본의 정예사단을 식민지 조선의 보잘 것 없는 독립군들이 1920년 6월부터 10월까지 만나는 족족 궤멸시켰으니 일본으로서는 망신살이 뻗쳤을 뿐만 아니라 대륙 침략에 엄청난 걸림돌이 생긴 것입니다.


그래서 일본은 봉오동-청산리 대첩을 이뤄낸 한인 독립군의 뿌리를 뽑으려 만주의 우리 동포들을 학살하는 경신 참변을 일으킵니다. 이에 독립군들은 동포들을 살리려 어쩔 수 없이 밀산으로 옮겨갑니다(밀산에서 만주의 바이칼인 흥개호를 건너면 우수리스크가 나옵니다). 그 곳에서 모두 모여 뒷날의 새로운 독립전쟁을 꾀하며 하나의 군대를 세우니 3500 장병의 대한독립군단이었습니다.



▲ 중국 화룡시에 있는 나철, 서일, 김교현 3종사 묘역. 이 3종사와 대종교는 독립전쟁사를 이야기할 때 빼놓을 수 없는 중요성을 가진다.


대한독립군단의 비극


그러나 이때부터 모든 일이 꼬입니다. 일본의 물샐 틈 없는 봉쇄로 개점휴업에 놓인 독립군들은 레닌의 달콤한 선동에 이끌립니다. 대한독립군단의 총재이자 정신적 지도자인 백포 서일과 백야 김좌진 등은 좀 더 때를 기다리자며 말리지만, 마음 급한 이들은 혹시나 하여 국경지대를 따라 스보보드니(자유시)까지 갑니다.


그러나 믿었던 소련 공산당은 약속을 저버리고 한인 이르쿠츠크파 공산당을 내세워 일본과의 밀약에 따라 대한독립군단을 무장해제 했으며, 그에 맞서다 많은 분들이 돌아가시고 살아남은 이들도 이르쿠츠크까지 끌려가 대한독립군단이 아예 와해되어버립니다.


이때부터 독립전쟁은 내리막길로 접어듭니다. 나중에 남북 만주에서 조선혁명군과 한국독립군이 용맹을 떨치지만, 끝내 1920년의 군력(軍力)을 되살리지 못하고 만주에서 대한의 이름을 내건 독립전쟁세력은 1938년 9월 6일을 끝으로 사라집니다.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입력

역사 뉴스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입단 신청 링크!! 샤인shine 11-03 2,804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SNS 드루와 드루와! 동이 09-14 2,640
공지 청소년을 위한 빛나는 역사 특강 7class 전체 영상 동이 02-23 3,927
공지 2021년 (사)대한사랑 청소년 환단고기 독후감 대회 (1/1~2/28) 동이 01-06 3,841
공지 대한사랑 역사 특강 [인터넷 강의] +1 샤인shine 09-06 7,634
289 ‘임나일본부’ 설 우기는 그 시기 일본은? 대한歷史 01-15 627
288 12일 전쟁기념관 '전쟁역사실 1실' 재개관 대한歷史 01-11 632
287 신라시대 박제상의 '부도지' 번역...해설서 출간한 고교생 정수연 양 대한歷史 12-28 860
286 사진·동영상으로 역사 여행… 종이책보다 집중력 향상 대한歷史 12-17 643
285 식민사학자 이병도를 회개시킨 최태영박사 대한歷史 12-05 696
284 철학자 도올 김용옥 “중국과 대등했던 고구려 이해해야 진정한 통일” 2015.12.04 중앙 대한歷史 12-04 666
283 미국서 돌아온 대한제국 국새·어보 대한歷史 12-03 614
282 고종·순종황제가 입었던 황색 곤룡포 진품 첫 공개 대한歷史 12-03 666
281 국정 교과서 상고사는 식민사관 복사판 될 것 대한歷史 12-03 665
280 개성 만월대서 고려 금속활자 나와.."1361년 이전 것 대한歷史 12-01 611
279 백제 동성대왕의 해외경략 (2015.11.26 재외동포신문) 대한歷史 11-29 628
278 ◈고구려 농사꾼 을파소가 국상이 된 까닭… 대한歷史 11-23 675
277 ◈1300년간 일본왕실 전해온 고려악, 이런 음악이었네 대한歷史 11-23 633
276 김호섭 동북아역사재단 이사장 "역사지도 사업 문제 많았다 2015.11.20 太一歷史 11-20 634
275 중국의 비뚤어진 역사관 (2015.11.19. 서울신문 김규환 국제부 선임기자) 太一歷史 11-19 628
274 낙랑군 위치 평양이냐 요서냐.. 한군현 놓고 '맞짱' 太一歷史 11-17 652
273 '식민사관 고대사'만 역사인가 太一歷史 11-16 636
272 ◈A.D 369년에 근초고왕이 마한을 정벌한 사실이 있나? 太一歷史 11-13 691
271 ◈4~5세기 전남 일대, 백제 아닌 마한의 지배 가능성 커 2015.11.13. 太一歷史 11-13 618
270 터키의 선조 오구즈칸과 칭기즈칸은 고구려 왕족의 혈통 太一歷史 11-11 69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