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현재접속자 1

한식 명절을 지내는 고려인

 <한식 명절을 지내는 고려인>


고려인들은 추석과 설 등 전통 명절도 지켜오고 있다. 특히 우리에겐 이미 사라져가는 명절인 한식을 크게 쇤다. 한식(양력 4월 5일) 때면 온 가족이 고기와 생선.인절미(현지 말로 짤떡이).과일.사탕과 초콜릿 등 음식을 풍성하게 준비해 성묘를 간다. 고려인이 '북망산'이라 부르는 공동묘지가 가장 붐비는 날이다.


음력으로 3월 9일은 한식날에 해당되는데 고려인의 각 가정에서는 조상을 모시기위해 성묘를 나간다. 농장의 고려인 중에는 이 날을 ‘한식’이라는 이름 대신에 그냥‘산에 가는 날’이라 부르는 사람도 많다. 이 날에는 도시에 나간 가족, 친척을 포함하

여 많은 친척들이 농장 안의 본가 혹은 가장 집에 모여 아침 일찍부터 공동묘지로 나간다. “음력이나 우리 전통을 전혀 모르는 젊은 사람들도, 보통 때 돌아오지도 않는 사람들도 이 날에는 꼭 돌아온다”는 농장 노인의 말처럼 농장에 있어서, 또 고려인에있어 이날은 성묘라는 의미 외에도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모이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고려인은 설, 단오, 한식, 추석 등 명절 때마다 협회 회관에 모여 음식을 나눠 먹는 전통을 지금도 지켜오고 있다. 그는 "명절 잔치 때면 여러 소수민족 단체장 등을 초청한다. 맛난 한식을 함께 먹고 흥겨운 춤과 노래마당도 열고 있어 인기"라고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한민족의 문화를 접하기 어렵다는 염일야씨. 카자흐스탄에서는 설과 추석을 지내느냐고 물었다. 그는 “4월 5일 음력에 한식을 지내요. 찬 음식 먹는 날이죠. 또 추석이나 명절에 우리 가족은 명절에 빈대떡이나 팥 시루 떡 같은 걸 먹어요.”라고 말했다. 한식은 옛 고려 시대 대표적인 명절이었지만, 오늘날 한국에서는 식목일로 더 많이 기억하는 날이다.( 고려인 4세 염일야)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입력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입단 신청 링크!! 샤인shine 11-03 2,859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SNS 드루와 드루와! 동이 09-14 2,694
공지 청소년을 위한 빛나는 역사 특강 7class 전체 영상 동이 02-23 3,980
공지 2021년 (사)대한사랑 청소년 환단고기 독후감 대회 (1/1~2/28) 동이 01-06 3,896
공지 대한사랑 역사 특강 [인터넷 강의] +1 샤인shine 09-06 7,691
공지 KBS 역사스페셜 - 조선사편수회를 조직하라 ○□△천지인歷史 10-17 4,536
공지 홍산문명 관련 다큐 모음 영상 ^0^ 歷史바래♡ 10-16 4,531
공지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닌 이유(네이버 지식인) 歷史바래♡ 10-02 4,932
공지 ☆식민사학 비판 필독서(150915火 현재15권)☆ 歷史바래♡ 09-15 4,305
공지 ☆국립 박물관 LIST☆ 뿌리역사♬ 08-16 4,299
141 일본의 나쁜 짓 역사혁명 04-16 535
140 실크로드와 신라 교류사 의문을 풀다 역사혁명 04-16 496
139 중화문명선전공정’이 시작된다 역사혁명 04-16 516
138 임나는 대마도다. 이병선 교수! 역사혁명 04-09 692
137 홍윤기 교수 환단고기 역주본 추천사 역사혁명 04-09 605
136 필적 연구를 하는 검사의 이야기♬ 역사혁명 04-07 491
135 재야 사학자 이돈성 박사 영문 역사책 발간 역사혁명 04-06 548
134 봉황의 오색 울음소리 생황 역사혁명 04-06 539
133 햄버거의 시원은 유목민족-타타르 역사혁명 04-05 575
132 구텐베르크, 고려를 훔치다 역사혁명 04-05 581
131 식목일은 어떻게 정해졌을가요? 역사혁명 04-05 588
130 박병섭 〈해모수 이야기〉"건국 신화, 진정성 가진 역사" 역사혁명 04-03 622
129 백두산 폭발과 발해의 멸망 역사혁명 04-03 704
128 美國에서 보내온 獨島 홍보 동영상 역사혁명 04-03 552
127 1박2일 국보특집을 보며~ 역사혁명 04-02 457
126 조선총독부 ‘조선사’ 간행 시작 (1932) 역사혁명 03-31 589
125 국호 ‘대한민국’ 제정 일화 역사혁명 03-30 509
124 양직공도가 보여주는 진실 역사혁명 03-29 481
123 신라 진흥왕은 왕이 아니라 태왕이다. 역사혁명 03-28 473
122 낙랑군 조선현의 위치 역사혁명 03-27 55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