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현재접속자 1

◈단군신화는 일본학자들이 먼저 사용했다!

 ◈단군신화 용어는 한국학자가 먼저 사용했다?? 


☞서영대 인하대 사학과 교수는 "일제가 단군을 말살하려 했지만 '단군신화'란 용어를 처음 쓴 것은 일제가 아니라 신채호다". 신채호 선생이 1908년 쓴 논설 '독사신론'을 보면 '삼국 이전에는 우리 동방민족이 상차(尙且, 신시시대라 고로 당시 영철(英哲)이 모두 신화에 의하여 인민을 유합(誘合)하얏는데'라는 말이 나온다.


☞서교수는 "신화는 민족 정체성의 근거이며 단군신화라는 용어 또한 한국학자들이 사용한 것"이라고 밝혔다. 서 교수는 그러나 "막상 일본인이 언제부터 단군신화라는 용어를 사용했는지 물어보면 명확한 답변이 나오지 않는다"며 "일본은 1890년대부터 단군에 대한 연구를 시작했는데 신화보다는 '전설'이라는 용어를 사용했다"고 주장했다. 


☞"단군신화는 한국학자들이 사용한 용어이며 당시 신화는 '신성한 이야기'라는 의미에서 단군을 신성시한 것이자 민족 정체성의 근거로 쓰였다"고 설명했다.


◈단군신화는 일본학자들이 먼저 사용했다! 


1894년 도쿄 국제대학의 시라토리 구라키치 교수가 단군고에서 "삼국유사에 나온 단군사적은 한국 불교의 설화에 근거하여 가공의 선담" -> 단군설화


케이오 의숙 출신 나카미치요는 "삼국유사에 나온 내용을 두고 승도의 망설을 역사상의 사실로 삼은 것"이라고 하여 사화를 허구로 만들었다. 1897년 『조선고사고』라는 논문에서 "단군왕검은 불교 승도의 망설이요 날조된 신화"라고 하였다. -> 단군신화


이마니시류 1921년 『단군고』라는 논문에서 단군의 건국사화를 신화로 다시 조작하였는데 이는 20여년 전에 나카 미치요가 만든 '단군신화를 논리적으로 체계화 한 것으로써 우리나라 역사왜곡의 밑바탕이 되었다. 


- 이것이 진실이다,이태용 저에서 발췌 정리-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입력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입단 신청 링크!! 샤인shine 11-03 2,859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SNS 드루와 드루와! 동이 09-14 2,694
공지 청소년을 위한 빛나는 역사 특강 7class 전체 영상 동이 02-23 3,980
공지 2021년 (사)대한사랑 청소년 환단고기 독후감 대회 (1/1~2/28) 동이 01-06 3,896
공지 대한사랑 역사 특강 [인터넷 강의] +1 샤인shine 09-06 7,691
공지 KBS 역사스페셜 - 조선사편수회를 조직하라 ○□△천지인歷史 10-17 4,534
공지 홍산문명 관련 다큐 모음 영상 ^0^ 歷史바래♡ 10-16 4,527
공지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닌 이유(네이버 지식인) 歷史바래♡ 10-02 4,929
공지 ☆식민사학 비판 필독서(150915火 현재15권)☆ 歷史바래♡ 09-15 4,304
공지 ☆국립 박물관 LIST☆ 뿌리역사♬ 08-16 4,297
41 [이덕일의 칼날 위의 歷史] 대한歷史 02-06 638
40 국제시장과 명량이 가르쳐준 애국 역사혁명 02-04 533
39 ♡ 우리의 노래, 아리랑을 불러주세요~ ♡ 역사혁명 02-03 587
38 뿌리 깊은 식민사관…오천년 민족사 맥을 끊다 역사혁명 02-03 611
37 북방민족이 중국대륙에 건설한 마지막 나라, 여진족의 '大淸제국' 역사혁명 02-02 622
36 하남의 언사(偃師) 이리두(二里頭)문화 역사혁명 02-02 915
35 <고대 몽골어 전공 학자가 밝힌 우리 관직명 해석> 역사혁명 02-01 657
34 바보 온달은 사마르칸트의 왕자? 역사혁명 01-31 824
33 고인돌은 영어로 역사혁명 01-31 657
32 ['실크'는 '실꾸리'에서 유래] 역사혁명 01-31 652
31 "place of meetings" 토론토 역사혁명 01-31 624
30 우리민족의 대이동 - 손성태 교수 (1시간 28) 역사혁명 01-31 839
29 박물관은 살아 있다. 역사혁명 01-31 572
28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이슈 고조선 설명 부분 역사혁명 01-28 855
27 역사학계에서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이 싫은 이유 ? 역사혁명 01-27 724
26 춘천중도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랜드개발저지 학술대회 역사혁명 01-26 692
25 KBS 히스토리에서 제공되는 역사 콘텐츠는 동영상만 5,000개가 넘는다. 역사혁명 01-07 802
24 올해는 한국사 복원 원년! 역사혁명 01-05 664
23 거석문화, 고인돌 역사혁명 01-05 614
22 우리나라의 수련 문화 대한의후예 01-05 65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