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로그인
  • 회원가입
  • 현재접속자 2

한식 명절을 지내는 고려인

 <한식 명절을 지내는 고려인>


고려인들은 추석과 설 등 전통 명절도 지켜오고 있다. 특히 우리에겐 이미 사라져가는 명절인 한식을 크게 쇤다. 한식(양력 4월 5일) 때면 온 가족이 고기와 생선.인절미(현지 말로 짤떡이).과일.사탕과 초콜릿 등 음식을 풍성하게 준비해 성묘를 간다. 고려인이 '북망산'이라 부르는 공동묘지가 가장 붐비는 날이다.


음력으로 3월 9일은 한식날에 해당되는데 고려인의 각 가정에서는 조상을 모시기위해 성묘를 나간다. 농장의 고려인 중에는 이 날을 ‘한식’이라는 이름 대신에 그냥‘산에 가는 날’이라 부르는 사람도 많다. 이 날에는 도시에 나간 가족, 친척을 포함하

여 많은 친척들이 농장 안의 본가 혹은 가장 집에 모여 아침 일찍부터 공동묘지로 나간다. “음력이나 우리 전통을 전혀 모르는 젊은 사람들도, 보통 때 돌아오지도 않는 사람들도 이 날에는 꼭 돌아온다”는 농장 노인의 말처럼 농장에 있어서, 또 고려인에있어 이날은 성묘라는 의미 외에도 떨어져 있던 사람들이 모이는 중요한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할 수 있겠다. 


우즈베키스탄 사마르칸트 고려인은 설, 단오, 한식, 추석 등 명절 때마다 협회 회관에 모여 음식을 나눠 먹는 전통을 지금도 지켜오고 있다. 그는 "명절 잔치 때면 여러 소수민족 단체장 등을 초청한다. 맛난 한식을 함께 먹고 흥겨운 춤과 노래마당도 열고 있어 인기"라고 엄지손가락을 치켜세웠다.


한민족의 문화를 접하기 어렵다는 염일야씨. 카자흐스탄에서는 설과 추석을 지내느냐고 물었다. 그는 “4월 5일 음력에 한식을 지내요. 찬 음식 먹는 날이죠. 또 추석이나 명절에 우리 가족은 명절에 빈대떡이나 팥 시루 떡 같은 걸 먹어요.”라고 말했다. 한식은 옛 고려 시대 대표적인 명절이었지만, 오늘날 한국에서는 식목일로 더 많이 기억하는 날이다.( 고려인 4세 염일야)

0
0
이 글을 페이스북으로 퍼가기 이 글을 트위터로 퍼가기 이 글을 카카오스토리로 퍼가기 이 글을 밴드로 퍼가기
captcha
자동등록방지 숫자입력

자유게시판

번호 제목 글쓴이 날짜 조회수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입단 신청 링크!! 샤인shine 11-03 2,857
공지 대한사랑 청소년단 SNS 드루와 드루와! 동이 09-14 2,692
공지 청소년을 위한 빛나는 역사 특강 7class 전체 영상 동이 02-23 3,977
공지 2021년 (사)대한사랑 청소년 환단고기 독후감 대회 (1/1~2/28) 동이 01-06 3,892
공지 대한사랑 역사 특강 [인터넷 강의] +1 샤인shine 09-06 7,689
공지 KBS 역사스페셜 - 조선사편수회를 조직하라 ○□△천지인歷史 10-17 4,532
공지 홍산문명 관련 다큐 모음 영상 ^0^ 歷史바래♡ 10-16 4,524
공지 환단고기가 위서가 아닌 이유(네이버 지식인) 歷史바래♡ 10-02 4,926
공지 ☆식민사학 비판 필독서(150915火 현재15권)☆ 歷史바래♡ 09-15 4,301
공지 ☆국립 박물관 LIST☆ 뿌리역사♬ 08-16 4,295
41 [이덕일의 칼날 위의 歷史] 대한歷史 02-06 637
40 국제시장과 명량이 가르쳐준 애국 역사혁명 02-04 532
39 ♡ 우리의 노래, 아리랑을 불러주세요~ ♡ 역사혁명 02-03 585
38 뿌리 깊은 식민사관…오천년 민족사 맥을 끊다 역사혁명 02-03 610
37 북방민족이 중국대륙에 건설한 마지막 나라, 여진족의 '大淸제국' 역사혁명 02-02 621
36 하남의 언사(偃師) 이리두(二里頭)문화 역사혁명 02-02 914
35 <고대 몽골어 전공 학자가 밝힌 우리 관직명 해석> 역사혁명 02-01 656
34 바보 온달은 사마르칸트의 왕자? 역사혁명 01-31 823
33 고인돌은 영어로 역사혁명 01-31 656
32 ['실크'는 '실꾸리'에서 유래] 역사혁명 01-31 650
31 "place of meetings" 토론토 역사혁명 01-31 623
30 우리민족의 대이동 - 손성태 교수 (1시간 28) 역사혁명 01-31 838
29 박물관은 살아 있다. 역사혁명 01-31 571
28 동북아역사재단 동북아역사이슈 고조선 설명 부분 역사혁명 01-28 853
27 역사학계에서 춘천 중도 고조선 유적이 싫은 이유 ? 역사혁명 01-27 723
26 춘천중도 고조선 유적지에 레고랜드개발저지 학술대회 역사혁명 01-26 690
25 KBS 히스토리에서 제공되는 역사 콘텐츠는 동영상만 5,000개가 넘는다. 역사혁명 01-07 799
24 올해는 한국사 복원 원년! 역사혁명 01-05 662
23 거석문화, 고인돌 역사혁명 01-05 612
22 우리나라의 수련 문화 대한의후예 01-05 654